테크닉


A. 분석과 정보전달

호흡법을 정립하기 전에,

-목소리의 다양한 음역 평가,

-몸의 생리학과 해부학 정리, 입문,

-올바른 자세와 근육기능 정립

-정확한 레가토로 노래

-목소리의 공명과 광택을 나게 하는 몸의 기악적인 균형상태에 도달하도록 하며,

-학생에게 맞는 정확한 음역, 음량과 목소리를 찾게 한다.


B . 정확한 딕션-목소리 기법에서 뗄 수 없는 부분

그녀는 학생들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지도한다.

-각 언어의 구어체에서 구별되는 자음과 모음을 확인하여, 노래할 때 필요한 시적 언어의 특정한 음색과 고저를 알게 한다.

-아티큘레이션, 발음, 레가토의 관계를 이해시킨다.

-개인(ego)을 따르기보다는, 특정한 극적, 정신적, 음악적인 필요에 따라 음색을 내고 원문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C. 목소리의 능력

학생들에게 민첩성과 유연성, 그리고 콜라로투라 기술을 상대적으로 빠른 시기에 음악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소개한다



가사

“내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 중 하나는 기계적인, 한마디로 죽은 연주이다.” 

완벽한 연주를 위한 의미 있는 사고를 하도록 학생들에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독려한다.

-가사(시)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리듬과 운율을 인지하기 위해 음악과 가사를 분리해서 익히도록 한다.

-학생들만의 배후의미를 창조하도록 한다.

-작곡자의 리듬 선택과 시의 배치를 분석한다.



음악성

레퍼토리 선택

1.  16세에서 22세까지는 중요한 발전의 시기이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언어와 장르(오페라, 오라토리오, 예술가곡)의 곡들을 탐구하도록 독려한다. 이것은 자신감을 세워준다.

-참을성 없는 젊은 성악가들이 적절치 않은 레퍼토리로 대가들의 흉내를 내는 것을 억제시킨다. 이러한 행동은 올바른 목소리의 정체성을 세우지 못하게 하며 목소리의 손상을 가져온다.


2. 발전된 학생들과 젊은 성악가들에게 그들에게 알맞은 레퍼토리를 발전시키도록 지도한다.




음악, 감정 그리고 예술가적인 자유로움


하나의 문장에서부터 전체의 예술작품은 그녀의 음악성과 교수법의 핵심이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지도한다.

-음악적 스타일과 극적인 필연성을 전달하도록

-개인적인 음악적 욕구와 도달점을 발견하도록

-최고의 음악적 경지에 도달하도록 노력하여 다양한 지휘자, 무대감독, 매니저, 또한 경쟁자들과 상대할 수 있는 준비가 되도록.


-같이 활동한 음악가들

헤르베르트 카라얀, 클라우디오 아바도, 주빈 메타, 다니엘 바렌보임, 피에르 불레즈, 세이지 오자와, 찰스 막케라스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핀타스 주커만 .



연기


진실된 유기체적인 연주를 창조하게 한다.

-사실, 역사적 배경, 인물들의 관계와 그들의 목적을 배우도록

-음악으로부터 나타날 때 그들의 성격을 정립하도록

-유연한 몸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인물의 성격이 살아있어서 온전히 현재에 충실한 인물을 유지하도록


같이 활동했던 무대감독들

피터 브룩(무대와 영화). Liubimov, 콕스, 다리오 , 피에르 루이지 피찌, 페르난도 아라발, 조셉 로시, 데이빗 로버트 맥도달드 .



장애를 극복하고 음악적 자아를 이해한다.


걱정과 불안감 없이 온전히 몰입된 연주를 위하여

-연주 중 끊임없는 내적인 자기 비판적 리스닝을 끊게 한다.

-부정적/긍정적인 내적인 갈등을 끊게 한다.

-몸과 얼굴의 불필요한 근육 사용을 유도하는 타협적인 태도를 배제하도록 한다.

-전적인 자각을 얻어서 집중하도록 한다.

-불안함과 절망감을 극복하고 현재에 충실하도록 한다.


음악 활동에 있어서 요구되는 교수법


-음악 스코어와 악보를 정확하게 배우도록 한다.

-연주 여행이나, 동시에 다른 오페라/콘서트에서 노래해야 하는 스트레스 많은 상황을 해결하고 목소리를 최고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나의 경험을 나눈다.


자하바 갈 프로필 원문 보기 www.voicebygal.com

Email : info@voicebygal.com

Photo: Christian Steiner

Zehava Gal  Mezzo-Soprano


감각적인 목소리와 파워풀한 무대매너를 가진 자하바 갈은 유럽과 미국의 유수한 극장과 오페라 하우스에서 세계의 위대한 지휘자들과 연주를 해왔다.


자하바 갈은 예루살렘 루빈 아카데미에서 피아노 연주과정을 이미 마스터한 뒤, 그의 목소리를 알아본 명성 있는 메조소프라노 제니 투르엘(Jennie Tourel)에게 발탁되어, 미국-이스라엘 문화재단으로부터 전액 장학금을 받아 줄리아드에서 학습하였다. 그랑프리와 파리 국제 성악 콩쿨의 다이우스 밀로 장학금을 획득한 뒤, 바바리안 국제 콩쿨에서 오페라와 예술 가곡 분야의 정상을 획득하였다. 뉴욕 영 콘서트 아티스트 대회 우승자로써 워싱턴 DC의 케네디 센터와 뉴욕의 92nd  Y에서 미국 데뷔 무대를 가졌다.


몬테베르디부터 20세기를 아우르는 다양한 레파토리로, 그녀는 라 스칼라(La Scala), 비엔나 슈타츠오퍼(the Vienna Staatsoper), 파리 오페라(the Paris Opera), 코벤트 가든(Covent Garden), 스카티쉬 오페라(the Scottish Opera), 네덜란드 오페라(the Netherlands Opera), 워싱턴 DC 오페라(the Washington DC Opera), 칠레 산티아고 오페라(the Santiago Opera), 뉴 이스라엘 오페라(the New Israeli Opera) 등에서 주역을 맡아 연주하였다. 또한 잘츠부르크 이스터 페스티벌(the Salzburg Easter Festival), 글린데본 페스티발(the Glyndebourne Festival), 페사로의 로시니 페스티발(the Rossini Festival of Pesaro) , 산타페 페스티발(the Santa Fe Festival) , 아테네 여름 페스티발(the Athens Summer Festival) 등 여러 특별 기획 공연에 출연하였다. 같이 연주한 지휘자들로는 카라얀(Von Karajan), 아바도(Abbado), 오자와(Ozawa), 매커라스(Mackerras), 깁슨(Gibson), 넬슨(Nelson), 마나한(Manahan) 등과 바로크 음악 전문가인 말고아르(J.C.Malgoir), 코르보즈(M.Corboz) 그리고 알란 커티스(A. Curtis) 등이 있다.  그는 특히 헨델과 로시니 작품에 능통하여, 열 두 오페라단과 로시니의 ‘세비야의 이발사’의 로지나 역으로 연주를 하였다. 현존하는 거장 피터 브룩(P.Brook)의  영화 ‘라 트레저디 드 카르멘’(La Tragedie de Carmen)에 출연하였는데, 이 작품은 유럽 전역에서 영화로 상영되었고 텔레비전에도 방영되었다.


그녀는 바렌보임(Barenboim), 아바도(Abbado), 메타(Mehta), 마타 (Mata), 조단(Jordan), 드 와르트(de Waart), 인발(Inbal), 깁슨(Gibson), 르비(Levy), 얼링(Ehriling) 등과 함께, 뉴욕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베를린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이스라엘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베른 심포니 오케스트라,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휴스턴, 달라스, 피츠버그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또한 작곡자 피에르 불레즈(Boulez)의 지휘 아래서 피아니스트 아쉬케나지(Ashkenazi), 바이올리니스트 주커만(Zuckerman)과 함께Ensemble Contemporain d’IRCAM 과 연주하였다.


다수의 독창회에서도 찬사를 받았다. 파리에서는 피아니스트 달튼 발드윈(D.Baldwin)과 연주하였고, 로렌스 스크로박스(L.Skrobacs)와 로스엔젤레스, 워싱턴 DC를 포함한 미국 투어, 악상 프로방스 페스티벌(Aix-en-Provance Festival), 로잔에서 연주하였고, 조나단 색(J.Sack)과 앙카라, 텔 아비브에서, 뉴저지 프린스톤에서는 글렌 파커(G.Parker)와 제이제이 페나(J.J.Penna), 뉴욕에서 로렌스 스크로박스, 마이런 맥퍼슨(M.McPherson, 카네기 홀), 마틴 캇츠(M.Katz,링컨센터 앨리스 툴리 홀)와 연주하였다.


음반에서도 그녀의 목소리를 들을 수가 있는데, 클라우디오 아바도와 무소르그스키 코랄 작품을 RCA에서 녹음하였다. 도니제티의 예술 가곡 ‘Nuits d’ete a Paususilippe’ 와 칸타타 ‘Teresa e Gianfaldoni’를 thesis에서 녹음하였고, 클라우디오 스키모네(Skimone)와 ‘Mose in Egitto’에서 아말테아 역으로(필립스), 말고와르와 몬테베르티의 ‘L’Incoronatione di Poppea’에서 옥타비아역으로 녹음(CBS)하였다. 또한 브룩(Brook)과 컨스탄트(Constant)가 편곡한 ‘La Tragedies de Carmen’에서 카르멘역으로 EM과 녹음하였다.

 


성악교수로서의 자하바 갈


뉴욕의 개인 스튜디오와 더불어 자하바 갈은 프린스턴의 웨스트 민스터  콰이어 칼리지(Westminster Choir College)에서 1994년부터 겸임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뉴욕의 줄리어드와 줄리어드 예비학교, 매네스음대, 콜롬비아 대학과 웨스트 민스터 콰이어 칼리지의 토요 세미나, 여름 세미나, 볼티모어의 로욜라 대학, 텔아비브 뮤직 아카데미, 예루살렘의 Mishkenot Shaananim센터, 보스턴에서 다수의 세미나와 장기 워크샾, 그리고 마스터클래스를 진행하였으며, 롱아일랜드에서 ‘Balanced Mind Conference’를 개최하였다. 또한 뉴욕 성악 교수 협회 (NYSTA)에서 주최한 세미나에 여러 해 주 강사로 초빙되었다. 주된 주제는 발성기술, 호흡, 음악해석, 연기, 콜로라투라를 위한 기교, 오페라 역을 위한 오디션준비/연구이다. 워크샾에서는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을 통한 강의에 이어서 개인 지도가 이루어진다.

With Luciano Pavarotti‘s Master Class at Juilliard, New York

With pianist Lawrence Skrobacs,

Paris

With director Robert David McDonald, Glasgow

With maestro Zubin Mehta, Israeli Philharmonic, Tel Aviv

With Donato Renzetti, Pier Luigi Pizzi, Pesaro

With Jean Claude Malgoire, in Odeon of Herodes Atticus, Athens’ Festival

With director Peter Brook, filming La Tragédie de Carmen

With Director David Alden,

Les Contes d'Hoffmann

In rehearsal of Le Comte Ory, with director Pier Luigi Pizzi, Pesaro

With director Peter Brook, filming La Tragédie de Carmen

With Gary Bertini and the Israeli Philharmonic

With director Peter Brook

With director Peter Br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