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닉
A. 분석과 정보전달
호흡법을 정립하기 전에,
-목소리의 다양한 음역 평가,
-몸의 생리학과 해부학 정리, 입문,
-올바른 자세와 근육기능 정립
-정확한 레가토로 노래
-목소리의 공명과 광택을 나게 하는 몸의 기악적인 균형상태에 도달하도록 하며,
-학생에게 맞는 정확한 음역, 음량과 목소리를 찾게 한다.
B . 정확한 딕션-목소리 기법에서 뗄 수 없는 부분
그녀는 학생들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지도한다.
-각 언어의 구어체에서 구별되는 자음과 모음을 확인하여, 노래할 때 필요한 시적 언어의 특정한 음색과 고저를 알게 한다.
-아티큘레이션, 발음, 레가토의 관계를 이해시킨다.
-개인(ego)을 따르기보다는, 특정한 극적, 정신적, 음악적인 필요에 따라 음색을 내고 원문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C. 목소리의 능력
학생들에게 민첩성과 유연성, 그리고 콜라로투라 기술을 상대적으로 빠른 시기에 음악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소개한다
가사
“내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 중 하나는 기계적인, 한마디로 죽은 연주이다.”
완벽한 연주를 위한 의미 있는 사고를 하도록 학생들에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독려한다.
-가사(시)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리듬과 운율을 인지하기 위해 음악과 가사를 분리해서 익히도록 한다.
-학생들만의 배후의미를 창조하도록 한다.
-작곡자의 리듬 선택과 시의 배치를 분석한다.
음악성
레퍼토리 선택
1. 16세에서 22세까지는 중요한 발전의 시기이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언어와 장르(오페라, 오라토리오, 예술가곡)의 곡들을 탐구하도록 독려한다. 이것은 자신감을 세워준다.
-참을성 없는 젊은 성악가들이 적절치 않은 레퍼토리로 대가들의 흉내를 내는 것을 억제시킨다. 이러한 행동은 올바른 목소리의 정체성을 세우지 못하게 하며 목소리의 손상을 가져온다.
2. 발전된 학생들과 젊은 성악가들에게 그들에게 알맞은 레퍼토리를 발전시키도록 지도한다.
음악, 감정 그리고 예술가적인 자유로움
하나의 문장에서부터 전체의 예술작품은 그녀의 음악성과 교수법의 핵심이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지도한다.
-음악적 스타일과 극적인 필연성을 전달하도록
-개인적인 음악적 욕구와 도달점을 발견하도록
-최고의 음악적 경지에 도달하도록 노력하여 다양한 지휘자, 무대감독, 매니저, 또한 경쟁자들과 상대할 수 있는 준비가 되도록.
-같이 활동한 음악가들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클라우디오 아바도, 주빈 메타, 다니엘 바렌보임, 피에르 불레즈, 세이지 오자와, 찰스 막케라스 경,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핀타스 주커만 등.
연기
진실된 유기체적인 연주를 창조하게 한다.
-사실, 역사적 배경, 인물들의 관계와 그들의 목적을 배우도록
-음악으로부터 나타날 때 그들의 성격을 정립하도록
-유연한 몸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인물의 성격이 살아있어서 온전히 현재에 충실한 인물을 유지하도록
같이 활동했던 무대감독들
피터 브룩(무대와 영화). Liubimov, 존 콕스, 다리오 포, 피에르 루이지 피찌, 페르난도 아라발, 조셉 로시, 데이빗 로버트 맥도달드 등.
장애를 극복하고 음악적 자아를 이해한다.
걱정과 불안감 없이 온전히 몰입된 연주를 위하여
-연주 중 끊임없는 내적인 자기 비판적 리스닝을 끊게 한다.
-부정적/긍정적인 내적인 갈등을 끊게 한다.
-몸과 얼굴의 불필요한 근육 사용을 유도하는 타협적인 태도를 배제하도록 한다.
-전적인 자각을 얻어서 집중하도록 한다.
-불안함과 절망감을 극복하고 현재에 충실하도록 한다.
음악 활동에 있어서 요구되는 교수법
-음악 스코어와 악보를 정확하게 배우도록 한다.
-연주 여행이나, 동시에 다른 오페라/콘서트에서 노래해야 하는 스트레스 많은 상황을 해결하고 목소리를 최고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나의 경험을 나눈다.
자하바 갈 프로필 원문 보기 www.voicebygal.com
Email : info@voicebygal.com